LV NOW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여섯명의 아이콘 재해석자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아이코닉한 모노그램을 기념하기위해 여섯명의 아티스트와 디자이너가 루이 비통의 초대에 응했다.

    여성들 사이에서 자라난 크리스찬 루부탱(CHRISTIAN LOUBOUTIN)은 어린 시절부터 여성미와 하이힐 고유의 라인에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애정을 키워나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도 그의 작업에 영감을 주고 있는 파리의 밤 문화, 쇼걸, 모험과도 같은 여행을 20대 초반부터 경험한 그는 1991년, 파리에 첫 매장을 오픈함으로써 열정적인 행보를 이어나갔다. 크리스찬 루부탱은 끊임없는 열정과 거듭된 노력으로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으며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빨간색 밑창(red sole)”은 전세계적으로 유혹의 상징이 되었다.
    신디 셔먼(CINDY SHERMAN)은 1970년대 중반 이래 이미지 메이커이자 필름 메이커로 활약하며 여러 경계선들을 허물었다. 성격파 배우, 모델, 의상 담당자, 메이크업 아티스트, 헤어 스타일리스트, 감독, 작가, 영화 촬영 기사, 포토그래퍼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역할을 자처한다. 2012년, 뉴욕 현대미술박물관(MOMA)에서 열렸던 회고전을 비롯해 세계 유수 미술관에서 열린 다수 전시에 참여한 신디 셔먼은 1995년 일명 ‘천재상(Genius Award)’으로 불리는 명망 높은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신디 셔먼은 아마도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여성 아티스트일 것이다.
    1962년, 로스앤젤레스에 건축 사무소를 설립한 이래 프랑크 게리는 시대의 아이콘으로 거듭난 전 세계 주요한 유명 건축물들을 설계하였다. 대대적인 수리를 거쳐 재탄생한 그의 산타모니카 자택에서부터 전설적인 건축가 필립 존슨(Philip Johnson)이 “동시대 최고의 건축물”이라고 평하였던 1997년 완공된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 (Guggenheim Museum Bilbao)에 이르기까지 프랭크 게리는 건축적인 경관을 재정의해왔다. 그는 올해 말 파리 시내에 완공될 예정인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을 비롯한 권위 있는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해오고 있다. 월간지 ‘베니티 페어(Vanity Fair)’는 프랭크 게리를 가리켜 ‘이 시대 가장 중요한 건축가’라 일컬었다. 그는 미국의 인기 만화 ‘심슨(The Simpsons)’에 등장하기도 했다.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가 패션 디자이너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서 그의 전문 분야에 혁신을 몰고 왔다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닐 것이다. 패션을 재정의하는데 있어 아이콘을 새롭게 해석해내는 접근 방식, 특히 기성복(ready-to-wear)의 중요성을 예측하고 브랜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재조명하는 그의 탁월한 안목은 대부분의 패션 하우스에게는 청사진과도 같다. 17세의 나이로 패션계에 첫발을 내디딘 라거펠트는 피에르 발망(Pierre Balmain)을 위해 일하는 것을 시작으로 장 파투(Jean Patou), 끌로에(Chloé)에서 커리어를 이어가는 동시에, 역사, 예술, 건축, 음악, 18세기 프랑스 가구에 대한 지식 또한 쌓아나가며,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서 취임한 1983년 이래 끊임없이 놀라운 성과를 보여왔다. 이 시대의 진정한 아이콘이자 아이콘 재해석자인 칼 라거펠트는 결코 쉬지 않는다.
    마크 뉴슨(MARC NEWSON)은 산업 디자인을 독학하기 이전, 조각과 쥬얼리 디자인을 공부하였던 만큼, 이러한 경험에 힘입어 기존의 것을 재해석하는 접근법과 그만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디자인을 선보여왔다. 직관적이고도 개인적인 그 자신만의 접근법으로 장르간 경계를 무너뜨리는 광범위한 디자인 작업을 선보여온 뉴슨은 그가 속한 분야에서는 다소 독특한 인물로 비춰졌을 수도 있다. 마크 뉴슨이 대학을 갓 졸업한 당시, 23세의 나이로 디자인한 록히드 라운지 체어(Lockheed Lounge chair)는 우리 시대의 진정한 디자인 아이콘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학창시절, 예술과 문학을 전공하였던 레이 가와쿠보(REI KAWAKUBO)는 졸업 후, 커리어 방향을 빠르게 전환해 섬유회사에 취직, 독학으로 패션 디자이너가 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가와쿠보가 1969년에 설립해, 1973년 기업화한 그녀의 라벨 꼼 데 가르송(Comme des Garçons)에서도 묻어난다. 가와쿠보는 그래픽과 광고는 물론, 매장 인테리어에서부터 옷과 액세서리의 디자인 및 제작에 이르기까지 각각 밀접히 연계되어있는 창의적인 전 과정에 대해 관여하였다. 1981년 그녀는 이제 전설이 된 그녀의 첫 번째 꼼 데 가르송 파리 쇼를 선보였다. 아이콘을 재해석해내는 그녀만의 미적 감각과 블랙을 향한 애착은 컬렉션 초창기에는 대중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결국에는 미의 개념에 대한 인식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자세한 정보 보러가기

    모노그램 콜레보레이션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루이 비통의 최신 광고 캠페인,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프로젝트를 알아보자.

    모노그램은 처음 등장한 순간부터 그 혁명적인 시도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 개인적인 시그니처는 조르주 비통의 손을 거치며 순식간에 현대적인 디자인의 상징으로 전 세계적인 의미를 획득하였다. 루이 비통의 모노그램은 창립자의 이니셜을 이용하여 브랜드의 위상을 높인 최초의 시도이자, 앞으로 다가올 글로벌 패션 문화를 예고하는 중요한 상징이었다.
    118년 후 스티븐 마이젤(Steven Meisel)이 작업한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광고 캠페인에서 크리스찬 루부탱(Christian Louboutin), 신디 셔먼(Cindy Sherman), 프랭크 게리(Frank Gehry),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 마크 뉴슨(Marc Newson), 레이 가와쿠보(Rei Kawakubo) 와 어디서도 만나볼 수 없는 콜라보레이션을 선보인다.
    이번 프로젝트는 모노그램 탄생의 토대가 되어준 장인정신의 뿌리를 돌아보고,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는 전통을 되살리며, 장르의 한계를 초월한 대담한 디자인을 시도하고, 무엇보다 루이 비통의 찬란한 미래를 향한 혁신적인 여정을 시작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개인적 취향과 보편적 미의식의 절묘한 결합을 지향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루이 비통 메종의 소중한 전통을 바탕으로 다시 한 번 모두의 기대를 뛰어넘는 놀라운 컬렉션이 탄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만나보기

    모노그램 콜레보레이션 조지 비통 광고 캠페인 사진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루이 비통 메종은 1854년 루이 비통(Louis Vuitton)에 의해 설립되었다. 1896년 그의 아들 조르주 비통(Georges Vuitton)은 작고한 부친을 기념하며 루이 비통 모노그램을 제작하였다. 세상을 변화시킬 하나의 아이콘이 탄생한 것이다.

    모노그램은 오랜 세월 동안 발전을 거듭해 왔지만 그 속에 담긴 핵심적인 특징과 의미는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장인정신과 예술, 디자인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루이 비통 메종은 브랜드의 자산인 혁신과 협업, 대담함의 정신을 발휘하여 모노그램의 역사를 끊임없이 새롭게 써 내려왔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올해 루이 비통 메종은 '아이콘과 아이콘 재해석자(The Icon and The Iconoclasts): 모노그램을 기념하며'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아티스트의 개인적인 취향이 자유롭게 반영된 이번 컬렉션은 그동안 자신만의 시각으로 모노그램을 바라보던 전 세계의 모노그램 애호가들에게 모노그램의 새로운 측면을 만나볼 수 있는 훌륭한 기회가 될 것이다. 루이 비통 메종은 패션과 예술, 건축과 산업 디자인의 경계를 뛰어넘어 각자의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온 여섯 명의 창의적인 아이콘 재해석자들에게 모노그램 캔버스의 패턴과 가장 잘 어울리는 새로운 형태의 가방 디자인을 의뢰하였다.

    크리스찬 루부탱(Christian Louboutin), 신디 셔먼(Cindy Sherman), 프랭크 게리(Frank Gehry),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 마크 뉴슨(Marc Newson), 레이 가와쿠보(Rei Kawakubo)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창조적 인물들이 어디서도 만나볼 수 없는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급진적일 뿐 아니라 장난기 가득한 컬렉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아이콘과 아이콘 재해석자 : 모노그램을 기념하며' 만나보기

    모노그램 콜레보레이션 조지 비통 동영상
  •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설계한 루이 비통 쇼윈도우

    •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설계한 루이 비통 쇼윈도우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설계한 루이 비통 쇼윈도우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설계한 루이 비통 쇼윈도우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설계한 루이 비통 쇼윈도우 - 루이 비통 문화유산 뉴스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 공개에 앞서, 루이 비통의 전 세계 매장 쇼윈도우에서 2014 가을 컬렉션과 함께 프랭크 게리의 조각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아이콘과 아이콘 재해석자' 프로젝트에도 참여한 프랭크 게리는 그의 아카이브인 스타일리시한 스쿠너(schooners, 돛대가 두 개 이상인 범선)에서 영감을 받아 루이 비통 쇼윈도우를 위한 조각 작품을 구상해냈다. 진줏빛을 품은 회색의 로즈우드 금속으로 덮인 나무 구조물들은 곧 오픈을 앞둔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의 유리 구조물을 연상시킨다.  
    루이 비통 패스 앱을 통해 쇼윈도우의 스티커 이미지를 스캔하여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한 특별한 컨텐츠와 관련 제품 정보를 만나볼 수 있으며, 이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앱스토어구글플레이 에서다운받기.

    건축 루이 비통 패스 앱 윈도우 콜레보레이션
  • 미쉘 윌리엄스(MICHELLE WILLIAMS)가 선보이는 새로운 색상의 락킷

    미쉘 윌리엄스(MICHELLE WILLIAMS)가 선보이는 새로운 색상의 락킷 - 루이 비통 패션 뉴스
    미쉘 윌리엄스가 사진작가 피터 린드버그(Peter Lindbergh)와 함께 작업한 루이 비통의 최신 광고 캠페인을 선보인다. 세 번째를 맞이하는 미쉘 윌리엄스와의 이번 캠페인은 새로운 색상의 락킷을 소개한다.

    토니상을 수상한 뮤지컬 "카바레(Cabaret)"의 리메이크 작품에 출연 중인 미쉘 윌리엄스는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중에 루이 비통의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위하여 피터 린드버그의 뉴욕 스튜디오를 찾았다. 카린 로이펠트(Carine Roitfeld)가 스타일링 한 니콜라 제스키에르의 컬렉션으로 미쉘 윌리엄스는 여배우의 모던한 매력을 드러낸다.
    1958년 처음 디자인된 후 끊임없이 변신을 거듭해 온 락킷이 이번에는 캐시미어 소가죽으로 재탄생되어 더욱 유연해진 바디와 우아한 곡선을 자랑한다. 루이 비통의 이번 캠페인에서는 베이지(갈렛, Galet) 색상과 뱀가죽 트리밍 장식의 블랙 색상으로 새롭게 선보인다.

    락킷 핸드백 시리즈 만나보기

    광고 캠페인 가죽 제품 사진 미쉘 윌리엄스